맨위로가기

KBS 1T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1TV는 시사, 뉴스,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텔레비전 채널이다. 1961년 12월 31일 개국했으며, 공익광고를 제외한 상업광고는 1994년 10월 1일부터 중단되었다.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어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며, 2012년 10월 8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시작했다. 주요 뉴스 프로그램으로는 KBS 뉴스광장, KBS 뉴스 12, KBS 뉴스 9 등이 있으며, 일일연속극과 대하드라마도 편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2TV
    KBS 2TV는 1980년 동양방송의 TV 방송을 이어받아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 채널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전국에 동일한 편성을 방송하며 오락 및 예능 중심으로 편성을 전환하여 광고 방송 시간이 확대되는 등 한국 방송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KBS 3TV
    KBS 3TV는 1981년 2월 2일에 개국하여 컬러 방송을 시작했으며, 유아 프로그램과 국제 스포츠 중계를 거쳐 1990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로 분리되었다.
  • 1961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61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GMA 네트워크
    GMA 네트워크는 1950년 라디오 방송국 개국으로 시작하여 1961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필리핀의 주요 상업 방송 네트워크로, 다양한 채널과 디지털 플랫폼 운영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뉴스, 영화 등 다방면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상파 방송국 - EBS 2TV
    EBS 2TV는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교육 채널로, 초·중등 교육 콘텐츠, 교양, 다큐멘터리, 어린이 프로그램을 상업광고 없이 제공하며 한국 교육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상파 방송국 - 동양방송
    동양방송은 삼성의 투자로 개국한 라디오서울을 모태로,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통합하여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다.
KBS 1TV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채널명KBS 1TV
KBS 1 로고
로고(2018년 9월 3일 ~ 현재)
개국일1961년 12월 31일
방송 시작일1961년 12월 31일
방송 네트워크한국방송공사
소유주한국방송공사
모토한국인의 중심채널, 오늘을 담는 창, 국민안전 중심채널
슬로건모두의 지구 (2023년 3월 1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방송 지역대한민국 전 지역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이전 명칭KBS TV (1961년 - 1980년)
자매 채널KBS 2TV
KBS NEWS D
웹사이트KBS
기술 정보
화면 형식2160p UHDTV(1080i480i로 각각 다운스케일되어 HDTV 및 SDTV 피드 제공)
디지털 지상파 방송채널 9.1
UHD 방송본사 52 / 가상 9-1
디지털 TV본사 15 / 가상 9-1
채널 정보
디지털 채널KT 지니 TV
SK B tv
LG U+ TV
9
위성 채널KT스카이라이프 9
온라인 서비스실시간 보기 (대한민국만 해당)
프로그램
관련 프로그램일일 드라마
텔레비전 소설
저작권1961 ~ KBS All rights reserved.

2. 특징

KBS 1TV는 시사 및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편성하며, 공익광고를 제외한 상업광고는 방송하지 않는다.[28] 일일연속극 및 대하드라마를 편성하며, 고정 채널번호는 9번이다.

1963년 1월 1일 상업광고를 시작했으나, 1969년 5월 1일 폐지했다.[29] 1981년 3월 7일 상업광고를 재개, 1982년 1월 25일 KBS 2TV의 광고 시간 확대로 인해 광고 시간이 축소되었다.[30] 1985년 5월 1일 술 광고를 폐지하고 평일 오후 광고방송을 축소, 1986년 7월 1일 블록광고를 폐지했다.[31] 1990년 3월 2일 평일 오후 블록광고를 폐지했고, 1994년 7월 23일 광고 폐지 결정을 거쳐 1994년 10월 1일부터 상업광고를 중단했다.[32][33]

신문(일간지) TV 편성표 상 명칭은 개국 이후 '중앙(中央)텔레비전'이었으며, 1973년 3월 KBS 창립과 함께 'KBS TV', 1970년대 후반 'KBS',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KBS1'로 변경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로 지정되어, 한반도 전역에 태풍 (또는 집중호우) 발생 시 뉴스 속보를 통해 신속하게 재난 상황을 전달한다. 1997년 평일 종일방송 도입이 무산되었으나, 2005년 12월 평일 낮 방송을 시작, 2012년 10월 8일부터 24시간 종일방송을 하고 있다.

뉴스 프로그램(1TV)은 KBS 1TV 제2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며, 수화 방송은 별도 장소에서 파란 바탕으로 진행된다. 뉴스 프로그램(1TV) 게시판은 2020년 11월 2일부터 기사 댓글과 동일한 서비스(라이브리)로 운영된다.

편성표 (1TV)는 2020년 9월 12일부터 매주 1주일 단위로 게시된다. 2020년 9월 15일부터 KBS의 정책에 따라 일부 지역에 1TV 지역국 편성이 적용된다.

프리랜서 드라마 PD 및 외부 제작사 소속 드라마 작가 영입은 금지되어 있다.[34][35][36] 주요 뉴스 프로그램으로는 KBS 뉴스광장(아침, TBC로부터 계승), KBS 뉴스 12, KBS 뉴스 9가 있다.[18][19][20]

3. 개별 디자인

3. 1. 기본

2001년부터 시청등급 화면이 도입되었다. 2019년 1월 1일부터 프로그램 시작 전 '곧이어(잠시후)' 안내가 추가되었다. 2020년부터 한글날에는 '''한국방송 1TV'''로 표기한다.

3. 2. 시각 표시

1981년부터 아침 시간대에 시각 표시를 도입하였고[37], 1991년 7월부터 날짜요일을 추가하였다.[38] 1991년 7월부터 1992년 4월까지는 날짜요일한자로 표기[38]했으나, 9개월 만인 1992년 4월부터 한글로 전면 변경되었다.[39] 2000년대 초반까지 뉴스 프로그램 시작 전에 현재 시각을 알렸다. 《KBS 뉴스 9》 시작 전 5초 뒤 현재 시보를 알려준다.

3. 3. 티커 표시

2001년 9.11 테러를 계기로 아침 시간대에 뉴스 티커가 신설되었다.[40] 코로나19 이후 2020년부터는 재난 정보를 하단 뉴스티커로 송출하고 있다.[41]

4. 연혁

1961년 12월 31일, KBS TV가 개국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방송 채널은 아니었으며, 그 이전에는 1956년 5월 12일 개국한 대한방송(DBC, 호출부호 HLKZ-TV)이 있었다.[2] DBC는 한국RCA유통회사(KORCAD) 소유로, 서울 9번 채널에서 방송을 시작했다.[3] 그러나 1959년 2월 2일, DBC 시설 화재로 방송이 중단되었다.[6]

정부는 방송국을 인수하여 KBS TV를 개국했으며, 1962년 12월에는 1963년 1월 1일부터 KBS와 한국 텔레비전 전체에 상업 광고가 도입될 것이라고 발표했다.[9] 그러나 KBS는 1969년 5월 1일부터 상업 광고를 중단했다.[10] 1976년 2월 기준으로 서울 55번 채널에 UHF 중계소를 운영하고 있었다.[11]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TBC가 KBS에 통합되면서 채널 이름이 KBS1로 변경되었고, TBC의 프로그램들을 흡수했다.[12] 1981년 3월 7일 상업 광고가 방송 재개되었으나,[13] 1994년 10월 1일 KBS1에서 광고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1990년대 초 한국 유료방송 시작과 함께 KBS1은 필수송출 채널에 포함되었다.[15] 2001년 11월 5일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으며, LCN은 9번으로 고정되었다.[16] 2012년 10월 8일에는 정부 승인을 받아 24시간 방송을 시작했다.[17]

4. 0. 1. 태동기 (1961년 ~ 1979년)

1961년 12월 31일, '''KBS TV'''가 개국했다(호출부호 HLKA-TV, 채널 9번).[7] 1962년 1월 15일에는 1일 4시간 30분 동안 정규방송을 실시했다.[42] 1963년 1월 1일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을 시작했다.[9]

1964년 6월 20일 흑성산중계소 개소에 따라 '''청주'''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 1966년 5월 16일에는 식장산중계소 개소로 '''대전'''에서, 1966년 8월 15일에는 미륵산 및 무등산 중계소 개소로 '''전주'''와 '''광주'''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1967년 11월 27일 용문산중계소 개소로 '''춘천'''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1968년 4월 10일에는 동래송신소 및 부산사무소 개소로 '''부산'''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

1969년 4월 30일 상업광고가 폐지되었다.[43] 같은 해 5월 9일 불모산중계소 개소로 '''마산·창원'''에서, 9월에는 범어동중계소 개소로 '''대구'''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1969년 7월에는 아폴로 11호 달 착륙을 중계 방송했다.[45]

1970년 2월 20일 학가산중계소 준공으로 '''안동'''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 1970년 4월 13일에는 《뉴스파노라마》가 방영 시작되었다.

1971년 3월 27일 괘방산중계소 개소로 '''강릉'''에서, 4월 14일 남해 망운산중계소 개소로 '''여수'''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 4월 18일 팔공산중계소 개소로 '''대구'''에서, 4월 20일에는 무룡산중계소 개소로 '''울산'''에서, 간월악송신소 개소로 '''제주'''에서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 4월 22일에는 백운산송신소 개소로 '''원주'''에서, 4월 24일에는 함백산중계소 개소로 '''태백'''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가 창립되면서 공영방송 체제로 전환되었다.

1978년 7월 1일에는 춘천, 대전, 청주, 대구, 전주, 광주, 제주방송국에서 TV 로컬방송이 개시되었다.

4. 0. 2. 도약기 (1980년 ~ 1992년)

1980년 12월 1일 : 언론통폐합으로 '''KBS 1TV'''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

1980년 12월 28일 : 《KBS 바둑왕전》이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임시 중단 및 종영되었다(1기).[12]

1981년 3월 7일 : 상업광고가 재개되었다.[13]

1981년 5월 25일 : 평일 오전 방송이 재개되었다.

1983년 :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간 동안 24시간 종일방송을 실시하였다.

1986년 7월 1일 : 평일 블록광고(20:30 ~ 20:35)가 폐지되었다.

1987년 10월 17일 : 토요일 오전 방송이 3시간 연장되어 주말 낮 방송이 시작되었다.

1990년 3월 2일 : 평일 블록광고가 폐지되었고, 스포츠 및 실황중계 프로그램에 상업광고가 편성되기 시작했다.[14]

4. 0. 3. 변혁기 (1993년 ~ 2000년)

1994년 7월 23일 : 수신료 징수 제도 개선을 발표하고, 상업광고 폐지를 결정하였다.[49]

1994년 9월 30일 : 상업광고 마지막 방송.[49]

1994년 10월 1일 : 한국전력공사 위탁징수 개시, 상업광고 폐지. TV수신료를 전기료에 통합하여 징수함으로써, KBS 재원 구조가 광고 대 수신료 30:70에서 50:50으로 바뀌었다.[50]

1996년 7월 1일 : 구 KBS위성2TV 위성방송(현 KBS 2TV) 개국으로 KBS 1TV 재송신 실시.

1997년 5월 19일 : 평일 오후 방송 시작을 16시로 변경.

1998년 1월 5일 : IMF 불황으로 오전 방송 1시간 축소(6시 ~ 11시 10분), 오후 방송 1시간 축소(17시 시작).

1998년 2월 16일 : 주중 심야방송 폐지(오후 17시 ~ 24시).

1998년 10월 12일 : 밤 12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주중 심야방송 재개.

4. 0. 4. 밀레니엄기 (2001년 ~ 2016년)

4. 0. 5. UHD 시대 (2017년 ~ 현재)

2017년 5월 31일 : UHD 방송 개시.[2] UHD 소유권 KBS MBC EBS SBS OBS 함께한다.

2017년 9월 4일 ~ 2018년 1월 22일 : KBS 노조 파업의 여파로 일부 임시 진행(1TV 뉴스 포함)으로 대체 및 해당 1TV 프로그램 결방으로 인하여 중단 · 방송시간 단축 및 종료.[3]

2018년 2월 8일 ~ 2월 28일 : 평창올림픽 주관방송의 《평창올림픽 라이브》 중계방송 실시.[4]

2021년 7월 19일 : UHD 다채널 방송 개시.[5]

2021년 10월 1일 : 지역 총국 1TV UHD가 전국 케이블 UHD로 확대.[6]

5. 프로그램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방송 시간제목비고
평일 금 밤 11시 30분 ~ 무작위독립영화관
주말 토 밤 12시 15분 ~ 무작위한국영화 클래식



방송 시간제목비고
평일 월 밤 10시 ~ 10시 55분가요무대
주말 토 낮 12시 10분 ~ 오후 1시국악한마당
주말 토 밤 11시 15분 ~ 밤 12시 5분콘서트 7080+
휴일 일 낮 12시 10분 ~ 낮 1시 30분전국노래자랑
휴일 일 저녁 6시 ~ 저녁 7시열린음악회



방송 시간제목비고
평일 목 오후 2시 30분 ~ 3시방과 후 초능력



방송 시간제목비고
주말 토 오후 2시 ~ 2시 15분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주말 토 오후 2시 15분 ~ 2시 30분캐리야! 학교가자
주말 토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내 마음은 무지
주말 토 오후 2시 45분 ~ 3시카비온
주말 토 오후 3시 ~ 3시 15분히어로 인사이드



주요 뉴스 프로그램으로는 KBS 뉴스광장(아침, TBC로부터 계승), KBS 뉴스 12, KBS 뉴스 9가 있다.[18][19][20] 이 채널은 또한 드라마를 방영하는데, 주로 저녁 8시 시간대에 방영한다.

KBS1도 드라마를 방영하지만, 외부 작가의 참여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KBS 1TV의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KBS 1TV는 드라마도 방영하지만, 외부 작가의 참여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19]

5. 1. 주요 프로그램

KBS 1TV의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KBS 1TV는 드라마도 방영하지만, 외부 작가의 참여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19]

6. 로고송

2001년 3월 3일부터 현재까지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한국방송" 로고송이 사용되고 있다. 이 로고송은 주로 KBS 1TV 프로그램, KBS 뉴스 9(1TV 메인뉴스), KBS 뉴스 (KBS 1TV) 등의 시작 전에 사용된다. 2024년 10월부터는 "항상 함께 국민의 방송 내 곁에 밝은 내일 밝은 세상을 원해 언제나 정다운 마음과 진심을 전해 KBS 한국방송" 로고송이 사용될 예정이다.

1962년 초부터 1973년 2월까지는 정지된 그림과 함께 여성 내레이터가 "중앙방송국입니다."라고 말했다. 1973년 3월부터 1980년 11월까지는 "KBS 텔레비전입니다."로 변경되었다. 1980년 12월부터 1984년 3월까지는 "KBS 제1텔레비전입니다."라는 멘트가 사용되었다.

1984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는 KBS 라디오 노래 "영원한 우리들의 KBS KBS" MR 버전이 사용되었다. 1988년 9월 17일부터 1988년 10월 2일까지는 서울 올림픽 기간 동안 "서울 올림픽을 세계에 보여주는 우리의 K B S"라는 로고송이 사용되었다.[59] 1993년 10월 18일부터 1994년 10월 9일까지는 "KBS KBS 제1텔레비전" 로고송이, 1994년 10월 10일부터 2001년 3월 2일까지는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2018년 8월 13일부터 2018년 8월 26일까지는 "함께 하는 평화, 함께 여는 미래 국민의 방송 KBS" 로고송이 사용되었다.

7. DMB

2005년 12월 1일부터 DMB 방송국 U-KBS를 통해 방송 중이다.

8. 네트워크

2012년에 서비스가 종료된 아날로그 방송망은 다음과 같다.[21]


  • 서울: 9채널 (본방송), 5채널 (중계)
  • 부산: 9채널
  • 강릉: 9채널
  • 여수: 4채널
  • 울산: 5채널
  • 창원: 6채널
  • 대전: 6채널
  • 전주: 7채널
  • 대구: 8채널
  • 춘천: 8채널
  • 진주: 10채널
  • 청주: 10채널
  • 원주: 10채널
  • 광주: 11채널
  • 안동: 12채널
  • 충주: 12채널
  • 제주: 12채널
  • 포항: 13채널
  • 목포: 27채널

참조

[1] 뉴스 Channel Info http://english.kbs.c[...] 2014-04-04
[2] PDF The Rise and Fall of the K-Drama Empire - Chapter 2 - Mad Men http://withs2.com/wp[...] 2022-03-01
[3] 웹사이트 SOUTH KOREA - the Museum of Broadcast Communications http://www.museum.tv[...] 2011-12-19
[4] 뉴스 T.V. IN S KOREA https://eresources.n[...] 2024-05-06
[5] 뉴스 Military TV https://eresources.n[...] 2024-05-06
[6] 뉴스 TV STUDIO BURNT https://eresources.n[...] 2024-05-06
[7] 뉴스 工事(공사)서두는 TV放送局(방송국) https://newslibrary.[...] 1961-11-08
[8] 서적 Broadcasting in Korea https://www.google.p[...] Nanam Publishing House 2024-11-23
[9] 뉴스 TV프로 좋아지려나 http://newslibrary.n[...] 1962-12-17
[10] 뉴스 KBS텔레비존 광고전폐교육방송 http://newslibrary.n[...] 1969-04-12
[11] 서적 Electronic Catalog(전자 카탈로그) https://www.kea.kr/e[...] Korea Electric Association 1976
[12] 뉴스 기존TBC-TV프로 최대한 살려 https://www.mk.co.kr[...] 1980-11-27
[13] 뉴스 KBS 7일부터 광고방송 http://dna.naver.com[...] 1981-03-06
[14] 뉴스 KBS 광고의존율 73% 한국방송공사 상반기 경영분석 https://newslibrary.[...] 1990-09-26
[15] 웹사이트 A Study of the Government Cable Tv Policy in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Government Cable Tv Policy in France https://books.google[...] 2024-04-30
[16] 뉴스 디지털TV 방송시대 본격 개막 http://news.naver.co[...] 2001-10-25
[17] 뉴스 10월 8일부터 KBS1 24시간 방송 https://dk.breaknews[...] 2012-09-29
[18] 웹사이트 뉴스광장 1부 https://news.kbs.co.[...] 2024-06-28
[19] 웹사이트 뉴스 12 https://news.kbs.co.[...] 2024-06-28
[20] 웹사이트 뉴스 9 https://news.kbs.co.[...] 2024-06-28
[21] 서적 2005 World Radio and Television Handbook World Radio and Television Handbook 2005
[22] 서적 KBS 커뮤니케이션북스 2022-04-16
[23] 웹사이트 About KBS https://about.kbs.co[...] 2022-04-16
[24] 웹사이트 뉴스광장 1부 https://news.kbs.co.[...] 2022-04-16
[25] 웹사이트 뉴스 12 https://news.kbs.co.[...] 2022-04-16
[26] 웹사이트 뉴스 9 https://news.kbs.co.[...] 2022-04-16
[27] 뉴스 [MK焦点] KBS、朝ドラマまた廃止に「騒然」…『「TV小説」だけは復活せよ』 https://www.mk.co.kr[...] 2022-04-16
[28] 일반
[29] 일반
[30] 일반
[31] 일반
[32] 일반
[33] 일반
[34] 뉴스인용 스타PD들의 탈방송사행 봇물! 왜? https://entertain.na[...] 마이데일리 2022-06-26
[35] 뉴스인용 방송가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2-06-26
[36] 뉴스 방송가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2-06-26
[37] 일반
[38] 일반
[39] 일반
[40] 일반
[41] 일반
[42] 일반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일반
[49] 일반
[50] 일반
[51] 일반
[52] 일반
[53] 일반
[54] 일반
[55] 일반
[56] 일반
[57] 일반
[58] 일반
[59] 일반
[60] 웹사이트 그 많던 KBS·MBC 시청자는 어디로 갔을까 http://www.media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